삭제된 댓글입니다.
미쉘김2022-12-24 13:39
2022년 늦가을 반갑게 이 책을 발견, 찬찬히 긴 호흡으로 거의 모든 문장에 밑줄을 그어가며 깊이 읽었어요.
삶의 가장 근원적 질문 '허무'에 대해 여러가지 관점을 던져 주고 읽는 이에게 사유하며 고민하게 한 올해의 빛나는 책입니다.
각 장마다 작가가 엄선한 큐레이션 이미지들이 매우 흥미로웠어요. 특히 저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었던 그림들과 작가의
이름앞에 잠시 멈춰서 격한 공감을 누릴수 있었어요. 길지않은 명료한 글들은 쉽게 읽혀지지만 결코 쉽지않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공부란 무엇인가'를 시작으로 김영민교수의 예술에 대한 호기심과 깊은 관심의 스펙트럼이 어디까지인지 매우 흥미롭습니다.
오직 이름과 제목으로만 기억하는 소식의 '적벽부'를 제대로 공부할수 있어서 또한 즐겁습니다. 해외에서 활동하는 독립큐레이터로서 내가
속한 문화와 정신세계에 늘 어떤 결핍을 끌어안고 살아왔는데, 책의 곳곳에서 '더불어'라는 부사를 만날때 느끼는 안도감이 참 좋습니다.
아쉬운 점은 어렵게 이곳 기지재단에서 마련한 특강의 자리가 매우 제한적이라 참석할수 없다는 것입니다. 너무 늦게 알게되고 신청을 했지만 너무 늦었나봐요.
안타까운 마음에 이 지면에 간단한 저의 생각을 남기게 되었어요.
삶의 가장 근원적 질문 '허무'에 대해 여러가지 관점을 던져 주고 읽는 이에게 사유하며 고민하게 한 올해의 빛나는 책입니다.
각 장마다 작가가 엄선한 큐레이션 이미지들이 매우 흥미로웠어요. 특히 저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었던 그림들과 작가의
이름앞에 잠시 멈춰서 격한 공감을 누릴수 있었어요. 길지않은 명료한 글들은 쉽게 읽혀지지만 결코 쉽지않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공부란 무엇인가'를 시작으로 김영민교수의 예술에 대한 호기심과 깊은 관심의 스펙트럼이 어디까지인지 매우 흥미롭습니다.
오직 이름과 제목으로만 기억하는 소식의 '적벽부'를 제대로 공부할수 있어서 또한 즐겁습니다. 해외에서 활동하는 독립큐레이터로서 내가
속한 문화와 정신세계에 늘 어떤 결핍을 끌어안고 살아왔는데, 책의 곳곳에서 '더불어'라는 부사를 만날때 느끼는 안도감이 참 좋습니다.
아쉬운 점은 어렵게 이곳 기지재단에서 마련한 특강의 자리가 매우 제한적이라 참석할수 없다는 것입니다. 너무 늦게 알게되고 신청을 했지만 너무 늦었나봐요.
안타까운 마음에 이 지면에 간단한 저의 생각을 남기게 되었어요.
PSBF2022-12-26 18:24
안녕하세요, 기지재단입니다.
저희 재단의 강연 프로그램에 깊은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강연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제한적이다 보니 정해진 인원 이상 신청 받지 못하는점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항상 모든 분의 말씀에 귀 기울이고, 더불어 성장하는 기지재단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희 재단의 강연 프로그램에 깊은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강연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제한적이다 보니 정해진 인원 이상 신청 받지 못하는점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항상 모든 분의 말씀에 귀 기울이고, 더불어 성장하는 기지재단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보영2022-12-29 19:02
김영민 교수 특별강연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
2022년 12월 30일(금) 저녁 7시~9시
기지재단 STAY[Z] 서대문구 연희로24길 9-2
참가신청은 여기! (마감되었습니다)
사상사 연구자 김영민 교수의 새로운 질문“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
사상사 연구자이자 칼럼니스트인 김영민 서울대 교수가 이번에는 ‘인생의 허무’를 주제로 한 인문 에세이를 펴냈다. 앞선 산문집에도 ‘허무’라는 테마는 등장했지만, 오로지 인생의 허무에 대한 그의 사유를 담은 것은 이번 책이 처음이다.
남녀노소 나이불문 누구나 한번쯤은 인생이 허무하다고 느꼈을 것이다. 그럴 때마다 당신은 어떻게 했을까? 허무의 근원을 깊이 파고들거나 건너뛰거나 무시하거나 또는 극복했을까? 김영민 교수는 “인생은 허무하다”고 직설한다. 허무가 인간 영혼의 피 냄새 같은 것이어서, 영혼이 있는 한 아무리 씻어도 지워지지 않는다면서도 “인간이 영혼을 잃지 않고 살아갈 수 있듯이, 인간은 인생의 허무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고 선언한다.
도대체 허무와 더불어 살아가는 삶이란 무엇일까? 저자 김영민은 인간에게 희망, 선의, 의미가 언제나 삶의 정답은 아니라고 말한다.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속으로는 이미 탈진 상태이거나 세상에 대한 불신으로 가득하거나 텅 비어버린 이들에게 희망과 선의, 의미를 가지라고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그렇기에 저자는 선의 없이도, 희망 없이도, 의미 없이도, 시간을 조용히 흘려보낼 수 있는 상태를 꿈꾼다. 목적이 없어도 되는 삶을 원한다. 삶을 살고 싶지, 삶이란 과제를 수행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저자의 삶에 대한 태도는 우리에게 허무와 더불어 살아가는 삶이 무엇인지 그 일면을 보여준다.
김영민식 유머와 해학, 통찰로 가득한
‘허무한 인생’과 더불어 사는 법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인생의 허무와 더불어 살아갈 수 있을까? 이 책은 다양한 방식으로 허무와 더불어 사는 법을 들려준다. 허무라는 주제를 다룬 만큼 죽음과 시체와 해골이 종종 등장하지만, 언제나 그러하듯 김영민식 유머와 해학, 그리고 통찰 가득한 글들 덕분에 독자들은 너무 무겁지도 않으면서 또 너무 가볍지 않게 인생의 허무와 마주하며 적당한 거리 두기를 할 수 있다.
해골과 함께하는 중세의 ‘죽음의 춤’을, 윌리엄 모리스가 주장하는 예술을 통한 구원을, 권태를 견디는 시시포스의 반복된 노동을, 장자의 슬픔을 극복하는 관점의 전환을 이야기하는 저자의 빛나는 문장들은 때로는 독자들의 생각을 대변하면서도 평소 생각지 못한 새로운 사유의 길로 이끈다.
그의 에세이는 말랑하거나 달콤한 글이 아니어서 인생이 허무하다 느끼는 누군가를 직접적으로 위로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의 글은 읽는 이로 하여금 고개를 주억거리며 밑줄 긋고, 기록하거나 필사하면서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게 만든다. 여기에 더해 독자들의 마음 한 켠을 저자와 같은 시선으로 함께 바라보고 싶은 그림과 영화, 시와 소설 리스트로 풍요롭게 채워준다. 그것만으로도 일상을 버티는 데 작은 위안을 준다. 천천히 읽을수록, 곁에 두고 오래 음미할수록 그 가치가 빛을 발한다.
소식의 「적벽부」,
허무에 대한 글쓰기의 모티프가 되다
이 책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시작은 2021년 봄 『중국정치사상사』 출간 기념 특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방대한 동서양 문헌을 종횡무진 넘나들며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중국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 책의 특강 주제가 바로 북송시대 문장가 소식의 「적벽부」를 토대로 한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였다. 「적벽부」는 소식(소동파)이 유배 시절 양쯔강을 유람하면서 지은 글로,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그 유명한 ‘적벽대전’을 회상하며 장구한 자연과 달리 짧고 덧없는 인생을 깨닫고 시름을 잊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정치사상사’와 ‘인생의 허무’를 연결한 이 독특한 강연 이후 저자는 허무와 더불어 사는 삶에 관한 생각의 편린을 다양한 지면에 발표해왔는데, 이 책은 그 글들을 「적벽부」의 흐름에 맞추어 새롭게 재구성한 것이다. 8개의 장 구성에 맞추어 배치된 각각의 글은 하나의 독립된 글인 동시에 서로 연결되어서 「적벽부」와 같은 흐름과 호흡으로 이어진다. 부록으로 실린 「적벽부」 내용을 본문과 연결해 살펴본다면 책 읽기의 색다른 묘미를 즐길 수 있다.
인생의 허무는 비단 소식뿐 아니라 수많은 이들이 오래전부터 고민해온 인류 보편의 문제이다. 저자는 시와 소설 등 문학 작품과 그림과 영화 등 수많은 예술 작품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생의 허무에 대해 앞서 고민한 이들의 사유를 그만의 독특한 시선으로 포착하고 새롭게 해석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인생의 허무를 앞서 고민한 이들에게 보내는 저자의 답장이자, 동시에 소식의 「적벽부」에 대한 새로운 주석서라 할 수 있다.
허무를 직관하게 만드는 이미지의 향연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미지에 있다. 태초에 텍스트 이전에 이미지가 먼저 있었듯이, 저자는 텍스트와 별개로 인생의 허무를 이야기하는 이미지에 집중한다. 이 책에는 동서고금을 넘나드는 회화와 벽화, 판화, 벽지, 도자기, 그림책, 영화, 설치작품 등 다양한 허무 이미지가 실려 있다. 때로는 이미지가 텍스트를 보조하는 듯하지만, 텍스트가 이미지를 보조하듯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텍스트를 읽기 전에 먼저 이미지를 접하며 허무를 직관하는 것도 이 책을 읽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 추천한다.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직관적으로 허무를 이해하게 하는 이러한 시각문화에 대한 저자의 애정은 책 곳곳에서 드러난다. 지면상의 문제로 못다 실은 이미지들은 또 다른 판본으로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