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서 온 그림 ‘묘법’, 자연으로 돌아간 박서보

PSBF
조회수 741



박서보 화백이 지난 14일 92세의 일기로 별세했다. 사진은 지난해 10월 열린 ‘더오리지널II’전(展)을 직접 찾아 출품작 ‘Écriture No. 23–77’(1977) 앞에 선 모습이다. /아트조선


박서보 화백이 10월 14일 오전 향년 92세로 세상을 떠났다. 작가는 지난 2월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폐암 3기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캔버스에 한 줄이라도 더 긋고 싶다”라며 작업을 향한 굳은 의지와 열의를 보인 그였기에 이번 비보가 더욱 갑작스럽고 황망하기 그지없다.

이렇다 저렇다 할 수식이나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박서보는 이름 그 자체로 예술세계가 온전히 설명되는 미술가다. 대표작 ‘묘법(描法·Écriture)’ 시리즈를 통해 서양의 추상미술과 구분되는 단색화 고유의 특성과 개성을 국제 미술계에 소개하고 한국 미술이 해외무대의 중심에 안착할 수 있도록 선도한 주역이다.
 


관람객이 불타오르는 듯한 새빨간 단풍의 색을 도입하기 시작한 후기 묘법 시기에 제작된 ‘Écriture No.071014’(2007)를 감상하고 있다. /아트조선

세라믹 묘법 ‘Écriture No.220405’(2022)의 디테일. /아트조선


그의 ‘묘법’은 말 그대로 ‘묘법(妙法)’과도 같다. 그의 연작 ‘컬러(후기) 묘법’은 불타오르는 단풍처럼, 때로는 수평선에 걸친 섬처럼 흡사 자연을 그대로 옮겨 화폭 위에 펼쳐놓은 것 같은 오묘하며 우미한 화면은 보는 이를 침잠의 심연으로 매혹한다. 이는 작가가 생전 강조해 온 ‘치유의 예술’ 개념과 그 궤를 같이하는데, 특정 메시지를 강요하는, 즉 토해내는 것이 아닌, 보는 이의 스트레스를 흡수하고 빨아들이는 이른바 ‘흡인지’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마치 자연이 그러한 것처럼.
 

자연은 작가의 최고 인기작인 ‘컬러 묘법’이 기인한 배경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며 본격적으로 색을 쓰기 시작했는데, 새빨갛게 불타는 단풍을 보고 탄복한 경험에서 비롯됐다. 빨간색이었다가도 다시 보면 보랏빛을 띠는 경관의 신비로움과 평온함을 화면으로 옮기고 싶었던 작가는 자연과의 합일이 오늘날 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깨닫고 자연의 아량과 포용을 닮은 색을 구현해 현대인의 정서를 어루만져 줄 수 있는 치유의 도구로 활용하고자 했다.


서울 연희동 기지재단 내의 작업실 풍경. 이젤 앞에 놓인 정갈하게 깎인 연필들이 쓰임을 기다리고 있다. /아트조선


“변하지 않으면 추락한다. 그러나 변하면 또한 추락한다.” 작가는 구순을 앞둔 몇 년 전, 자기 말마따나 다시 한 번 변화했다. 지팡이를 짚고 발을 끌면서도 연필 한 자루를 쥐고 홀로 이젤 앞에 서길 택했다. 그림이란 시대에 따라 변해야 하지만 작가의 신체조건에 따라서도 변하는 것이라고 작가는 설명했다. 지난 7월, 박서보는 연필로 화면 위를 거듭해 죽죽 긋고 있는 모습의 영상을 올리며 다음과 같은 글을 함께 남겼다. “몸이 너무 안 좋아 작업을 전혀 못 하는 날도 있다. 하루 3시간만이라도 작업을 했으면 좋겠다. 이 나이에도 시행착오를 겪는다. 했던 작업을 물감으로 덮고 다시 그으며 차츰 길을 찾아가고 있다.” 92세의 나이에도 예술을 향한 박서보의 여정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의 이름을 딴 ‘박서보미술관’이 내년 7월경 제주도 서귀포시에 문을 열 예정이다. 작가는 “미술관이 마음속 응어리진 것이 풀릴 수 있는 곳이 되길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자연에서 경험한 평온함을 자신의 화면에도 들여와 보는 이에게 안락함을 주고자 했던 박서보는 그토록 닮고 싶어 했던 자연으로 돌아갔다.
 

지난 2019년 서울 연희동 작업실에서 만난 박서보 화백. /아트조선

http://art.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0/18/2023101802498.html